티스토리 뷰
조울증(양긍성 장애) 우울증 증상 누구나 화자가 될수 있다. |
우울증은 현대에와서 너무도 흔한증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명중 한명은 우울증을 겪어봤다해도 틀린말이 아닐정도로 많은 사람이 우울증을 경험해봤다. 우울증은 어디서부터 생기는 걸까, 점염되는 것일까? 한편으로 우울증이 전염된다해도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주울증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마음의 병을 정신과에서는 양극성 장애라는 병명으로 부르며 양극성 장애는 기분 에너지 생각과 행동에 극단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울증(양극성 장애) 유형
양극성 장애는 증상의 특징이나 심각성 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며, 가장 흔한 것 은 1형과 2형 양극성 장애이다.
조울증 유형(정상 기분, 우울장애, 1형 양극성 장애, 2형 양극성 장애, 순환성 기분장애, 급속순환형, 단극성 조증상태)
1형 양극성 장애(조울증)
조증과 심한 우울상태가 나타나는 유형으로 조증과 우울증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오해하기 쉬우나 일반적으로 우울증삽화의 횟수가 조증삽화의 횟수보다 많이 나타난다.
2형 양긍성 장애(조울증)
경한 조증과 심한 우울증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조증으로 진단할 만큼의 심한 조증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우울장애로 잘 못 판단할 수 있다.)
●조울증 증상
양극성 장애는우울장애(우울증)와는 임상적으로 꾸렷하게 구별이 가능한 병이지만, 우울증 상태에 접어들면 일반적인 우울장애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조울증 치료방법
1. 약물치료
-기분안정제
-항정신병 약물
-항불안제
-항우울제
2. 입원치료
-우울증 상태나 조증의 증상이 가벼울 경우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자주 평가할 수만 있다면 외래에서 안정하게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3. 유지치료
유지치료는 질환의 심한 정도,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위험성, 그리고 환자에 대한 지지 체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4. 정신치료
우울삽화에서 대인관계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약물치료와 병행하였을 때 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며, 정신역동적 정신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 엄마, 아빠 임신 전 몸관리 방법 (0) | 2019.06.04 |
---|---|
당뇨병 원인과 증상 어떡하면 예방할수 있을까 (0) | 2019.06.04 |
해외여행 어디든 예방접종을 하며 다니자(북아메리카 세인트 피에르 미클론) (0) | 2019.06.03 |
해외여행, 출장 가장먼저 준비할건 예방접종 (북아메리카 세인트 싸이판) (0) | 2019.06.03 |
그린란드 여행시 가장먼저 준비해야할 예방접종(북아메리카) (0) | 2019.06.03 |